2015년 6월 17일 수요일

[대학문화] 대학문화가 새로운 청년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실천이 필요한지 생각해보자

2015년 현재 대학문화(大學文化)80·90년대의 대학문화에 비해 힘이 없다. 대학이 학생들에게 충분히 공부할 수 있는, 예비 사회인으로서 경계 없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 최근 각종 미디어에서 보도되었던, 취업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대학평가를 보아도 현실을 단번에 알 수 있다. 이렇게 학생들에게 성공 취업을 주입하는 학교의 대학생들은, 문화적 자생력을 점점 잃고 있다.
 
   대학생이 만들어가는 대학문화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중요하다.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대학 진학률이 1인만큼, 대학생이 청년문화와 대중문화에 끼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청년문화는 문화적 다양성과 창조성을 통해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현재 대한민국 청년들의 대학문화는 청년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학문화가 새로운 청년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적, 주체적, 실천적인 문화를 지향해야 한다. 요즘 대학생들은 서로 잘 교류하지 않는다. 대학생활의 목적은 취업이고, 대학생 시절에 만나는 인연은 스쳐 간다는 생각을 하는 학생들이 많은 탓이다. ‘대학친구라는 말이 따로 있는 것이 이러한 현상을 보여준다. 대학문화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생들이 서로 적극적으로 교류하여 하나의 유기체를 형성해야 한다. 딱딱한 관료주의적 조직이 아닌, 다양하고 복합적이지만 하나의 지향점을 가진 유기체를 조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스스로 마음을 열고 내 옆 사람에게 다가가려는 실천이 필요하다. 낯설고, 어색하지만 서로 대학문화의 구성원이라는 동질감을 느끼고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조직을 형성한 대학문화는 구체적 행동에 앞서 주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대학문화가 힘을 잃은 이유 중 하나는 대학생이 자본주의와 맞잡은 대학에 수동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생은 주체적인 태도로 대학문화에 대해 서로 모여 치열하게 고민하고, 개선해 가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대학문화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면 안 된다. 주체성을 갖고 자신감 있게 대학문화에 관해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체적으로 조직을 형성한 대학문화는 결국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 어떠한 모양이 되어도 좋으니 일단 행동을 해야 한다. 실패할 수도 있다. , , 고등학교 내내 교실에서 계속 책만 보았는데, 처음부터 어떤 행동을 잘할 순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패에 낙심하지 말고 문화의 구성원들이 서로 독려하며 꿋꿋이 행동해야한다.
 
이러한 행동의 예로 대학생이 주체로 기획하는 강연단을 들 수 있겠다. 강원대학교에는 나들이라는 강연단이 있다. 이 강연단은 강연의 기획부터 진행까지 강연단 구성원이 다 해결한다. 기회가 되어 나들이가 주최하는 강연에 가본 경험이 있다. 그 강연의 연사는 음표도 그릴 줄 모르는 음악가와, 자전거를 타고 유럽을 횡단한 대학생이었다. 두 연사 모두 공통적으로 청중에게 하는 말이 있었다. 무엇이든 그냥 일단 해보라는 것이었다. 그 말은 연사뿐 아니라 강연단을 기획하는 나들이구성원들도 청중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일지도 모른다. 대학문화가 새로운 청년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행동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