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16일 목요일

[문화이론] 발터 벤야민의 이론이 다른 프랑크푸르트학파의 견해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발터 벤야민의 이론이 다른 프랑크푸르트학파의 견해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출처 : http://ephilosophy.kr/han/wp-content/uploads/2013/01/5-1.jpg


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이론은 다른 프랑크푸르트학파(The Frankfurt school)의 견해와 크게 두 가지 다른 점이 있다. 첫 번째는 기술의 발달에 대한 견해이고, 두 번째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올바른 예술과 대중의 관계에 대한 정의이다. 각각 기술의 발달에 관한 견해에서 예술과 대중과의 올바른 관계에 대한 정의가 파생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기술의 발달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자면, 발터 벤야민은 기술의 발달을 복제 기술의 발달로 보았다. ‘복제라는 단어에서 드는 느낌이 다소 부정적이지만, 벤야민은 복제 기술의 발달을 부정적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복제 기술의 발달로 전통적 예술이 갖고 있는 아우라(aura)’는 파괴되었지만 대중과 예술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생겼고. 거리를 통해 대중은 비판적 수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발달한 대중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프랑크푸르트학파는 기술의 발달을 사물화(reification) 현상으로 보았다. 사물화 현상이란 인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질적인 관계가 모두 양적인 관계로 바뀌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이 과정에서 인간이 자율성을 잃어버린 소모품으로 전락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기술의 발달을 상당히 부정적으로 바라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술의 발전에 대한 시각 차이를 보이는 이들은 올바른 예술과 대중과의 관계를 정의함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벤야민은 예술과 대중은 밀접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이를 통한 대중의 비판적 수용과, 예술가들의 실천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이는 극작가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소외효과이론(alienation effect)을 예로 들 수 있다. 소외효과이론은 예술을 수용자들에게 고의적으로 낯설게전달함으로써 대중의 비판적 수용 능력을 끌어내는 것이다. 배우들이 브라운관(Braun tube)을 보고 있는 시청자를 향해, 연극을 관람하고 있는 관람객을 향해 대사를 하여 수용자로 하여금 순간적으로 극과의 거리감을 조성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벤야민과 다르게 대중과 예술이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파시즘에 종속된 노동자 계층(대중)은 사회변혁의 주체가 될 수 없고, 이러한 대중과 완전히 분리된 자유예술만이 사회를 바꿀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자유예술은 반대중적인 성향이 강하고, 나아가 엘리트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어려운, 사회를 풍자한 추상적 예술작품들이 자유예술의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종종 전시를 관람하러 미술관에 갔을 때, 전시되어 있는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작품들을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이해하지 못한 작품 중에 일상적인 것을 비유하고 풍자한 작품들이 있었는데, 이런 작품이 자유예술을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

[문화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의 문화관을 오늘의 현실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의 문화관을 오늘의 현실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출처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3/AdornoHorkheimerHabermasbyJeremyJShapiro2.png


랑크푸트르학파(The Frankfurt school) 지식인들의 문화관(文化觀)은 수정적 마르크스주의에 기반을 두어 발달했다. 때문에 이들의 문화관은 마르크스가 주장한 이데올로기 비판을 토대로 한다. 이는 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권력관계를 비판하고 통찰함으로써 사회변혁(社會變革)을 도모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렇게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은 사회변혁을 추구하였고, 이를 위한 수단으로 실천적(實踐的) 인간의 행위를 중요하게 여겼다. , 문화를 사회변혁의 수단으로 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당시의 대중(大衆)이라고 할 수 있는 다수의 노동자들은 사회변혁에 뛰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체주의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사회변혁을 추구하는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대중문화를 사회적 시멘트(social cement), ‘문화산업이라고 칭하며, 대중문화의 도구적 합리성을 비판하였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사회변혁의 수단으로 자유예술의 개념을 내세웠다. 이들이  말하는 자유예술은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행위이며, 사회변혁을 목적으로 하는 탈() 형식의 문화이다.
 
    이러한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의 문화관을 오늘의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이 살았던 시대와 지금은 배경이 상당부분 다르고, ‘자유예술이 아닌 대중문화를 통한 사회변혁의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이 살았던 당시는 파시즘 즉, 전체주의가 유럽사회 전반에 퍼져나가던 상태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자유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당시의 대중(노동자)들이 파시즘 국가의 기반을 만들어주었다면, 오늘날의 대중(시민) 개개인은 자유주의 국가의 주인이다.
 
    또한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의 우려와는 달리 도구적 합리성 즉,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발달한 대중문화는 사회변혁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는 촛불시위로 예를 들 수 있다. 촛불시위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매스미디어(mass media)’라는 대중문화를 통해 전파되고, 모인 사람들은 규격화 된 촛불을 들고 함께 사회변혁을 염원한다. 또한 이 곳에서는 대중문화와 관련 된 다양한 유명 인사들이 나와 연설을 하거나, 공연을 한다.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

 
 
 

2015년 4월 15일 수요일

[힙합] SAN E - 내발아래..디스(diss)..?, 산 선생님 어디로?

SAN E의 '셀프디스(self diss)', 산 선생님은 어디로...?


2015년 4월 14일 공개된 화제의 MV <SAN E - 내발아래>

엔터테이너 SAN E의 싱글 발매 


2015년 4월 14일 SAN E의'내발아래'가 공개되었다. 정규 앨범 발매를 앞두고 발매한 전 작 '#LuvUHater'에 이어 두 번째로 공개한 따끈따끈한 신작이다. SAN E는 (국내 힙합 팬 사이에서 여러 번 화제가 되었던) SAN E의 대표적 실패 곡 '지영이 어머니'가 수록된 미니앨범 ('Not Based On The True Story (2013. 11. 21)에 이어 약 16개월 만에 정규앨범을 발매한다. 그간 여러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긴 했지만, 다수의 곡이 수록된 앨범을 발매하는 건 꽤 오래간만이다.

   그래서인지 힙합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와 음원 사이트의 반응이 뜨겁다. '#LuvUHater'과 '내발아래' 두 곡 모두 <언프리티 랩 스타> 이후 잠잠할 뻔했던 힙합씬(hip hop scene)을 뜨겁게 달궈주었다. 심지어 빈지노(Beenzino), 그레이(Gray), 제리케이(Jerry.K)와 같은 힙합씬의 걸출한 뮤지션들까지 그의 앨범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추세이다.  관련 내용은 힙합플레이야(HIPHOPPLAY)에서 자세히 소개하였다. 

   SAN E는 '#LuvUhater, 내발아래' 두 번의 싱글을 통하여 본인의 가치를 확실히 입증했다.<언프리티 랩 스타>에서 갈고 닦은 엔터테이먼트 감각을 충분히 발휘하여, 뛰어난 엔터테이너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MC SAN E





"혹시, HOT SUMMER라는 노래 아세요?" "아, 그럼요! HOT SUMMER HOT, HOT SUMMER, SUMMER FX!! ㅋㅋㅋㅋ"


'내발아래' 곡 중간에 나오는 나래이션이다. 곡을 듣기 전, SAN E가 B-FREE 에게 맞디스를 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대하는 마음으로 들었다. (싸움 구경은 언제나 재밌다) 개인적으로 SAN E라는 뮤지션이 아마추어였을 때부터 좋아했던 터라, #LuvUHater에서 실망했지만 다음 싱글을 기다렸다. 하지만 너-무 실망이었다. 비트와 MC그리의 피처링은 논외로 하고, SAN E의 태도(attitude)가 너무 실망스러웠다.

   힙합플레이야 자유녹음게시판에서 보여주었던 아마추어 'MC' SAN E는 온데간데없었다. 대신 <언프리티 랩 스타>에서 등장한 Show 'MC' SAN E가 보였다. 래퍼 Nas가 사용하고 싶다고 의사를 밝힌, 개인적으로 훌륭한 힙합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B-Free의 hot summer'를 깎아내려서 듣기 불편했다. 더불어 SAN E의 랩도 적지않아 실망이었다.

   하지만, 진짜 실망은 다른 곳에 있었다. 힙합이란 음악을 평가하는 잣대를  '인지도'로 두는 것에 대한 소심한 분노와 실망감이 들었다. SAN E는 힙합커뮤니티 게시판에서 아마추어로 활동했던 본인을 잊은것 같아보였다. 그저 누군가가 몰라준다는 이유로 hot summer라는 곡과 B-FREE가 웃음거리 될 이유는 없었다. 그의 가사에 전혀 공감하지 못했다. 더 이상 SAN E는 위트있는 리릭시스트가 아니었다. (산 선생님은 어디갔나요..)




San - 산 선생님(랩의진수)

..."아직도 내 블로그 즐겨찾기 추가 안했냐?"

SAN E도 이런 시절이 있었다. 

산 선생님 인사 발령 나셨단다.

   개인 블로그에 녹음물 올리시던 랩 선생님 SAN E는 어디 가셨을까.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된 걸까. JYP를 지나 BRAND NEW까지 꽤 긴 시간 방황하며 그는 어떻게 변한 것일까. 정규 앨범 발매 전 두 개의 싱글로, SAN E는 힙합계에서 안드로메다 행성으로 추방되었다. 아니, 블랙홀 어딘가로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직 SAN E의 정규앨범은 공개되지 않았다. SAN E는 명예회복을 할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것 같아 보인다.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



2015년 4월 13일 월요일

[매스컬쳐, 문화] 매스 컬처의 확장은 문화 활성화인가 문화 획일화인가?

매스 컬처의 확장은 문화 활성화인가 문화 획일화인가?


출처 : http://hompi.sogang.ac.kr/albatross/images/m01/img0912_9.jpg


스 컬처(mass culture)는 대중문화의 번성과 함께 확장되었다. 매스 컬처는 포퓰러 컬처(popular culture)와는 다르게 그 중심에 사업가가 존재한다. 여기서 사업가란 시장의 수요에 맞게 문화를 가공하고, 그에 따라 이윤을 추구하는 사람을 말한다. 사업가는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문화를 가공하여 판매한다. 문화가 이윤추구를 위한 일종의 수단인 것이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시장성이 있는 제품을 파는 사업가는 돈을 벌기 마련이고, 막대한 이윤을 얻은 사업가는 투자를 통해 더욱 질 좋은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다. 이렇게 매스 컬처는 자본주의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그 세력을 빠르게 확장한다. 나아가 이로 인해 문화 시장의 부익부(富益富) 빈익빈(貧益貧)’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K-POP으로 예를 들면, K-POP은 한국의 체계적인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산업과 막대한 자본의 힘을 통해 그 사업 규모가 급속하게 성장했다. 이를 통해 아시아는 물론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을 오가는 전 세계적인 K-POP STAR가 등장하였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주가 상승은 물론이고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도 가져왔다. 또한 한국이라는 나라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역할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모습(매스 컬처를 통한 경제적 활성화) 이면에 매스 컬처는 부정적인 모습 또한 갖고 있다. 바로 문화 획일화현상이다. 예술가와 수용자의 자발적, 능동적인 참여와 교류가 아닌, 사업가에 의한 문화 형성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예술가와 수용자가 능동적으로 문화에 참여하는 포퓰러 컬처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이 지속적으로 보존된다. 왜냐하면 사업가와 같은 외부의 압력이 없고,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새로운 문화가 지속적으로 생겨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스 컬처의 경우 문화적 다양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자본가는 문화를 이윤추구의 수단으로 삼기 때문이다.
 
   한국의 매스 컬처 현상은 음악과 함께 지속되어 왔다. 힙합(hiphop), (rock) 음악 같은 것이 그렇다. 각각의 장르가 유행할 때마다 한국의 대형 기획사 소속 아이돌들은 각 장르의 음악을 무기로 시장에 진출했다. 음악 전문 채널 M.net에서 방송하고 있는 <언프리티 랩스타>가 유명세를 탄 요즘 같은 시대의 대세는 물론 힙합이다. 이 대세가 다른 문화의 소멸을 촉진시킬지는 몰라도 매스 컬처를 통한 요즘 문화 대세는 힙합이다.

   또한 여기서 안타까운 점은 힙합이 K-POP과 매스미디어를 통해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듯 보이지만 사실 왜곡된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매스 컬처로서의 힙합을 즐기는 문화 수용자들에게 힙합이란 상대방을 디스(dis) 하는 젊은이들 사이의 강한 (rap)’ 장르의 음악 정도로만 인식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혹은 힙합이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그저 느낌 있는음악 정도로 인식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힙합이 언제까지 이런 인기를 끌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언젠가는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다른 음악이 지금의 힙합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다.
 
참고문헌 :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한울 아카데미


ⓒ All right reserved dailyculturestory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
 

[고급문화, 대중문화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미학적인 차이는 어떤 것인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미학적인 차이는 어떤 것인가?


ⓒ http://wc-z.com/wp/wp-content/uploads/2015/02/I1.png


급문화와 대중문화의 미학적(美學的)인 차이를 생각해보기 이전에 고급문화와 대중문화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면 다음과 같다.
 
   고급문화는 유명 화가의 그림이 걸려있는 고급레스토랑에서 저녁을 먹고, 오페라 공연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흔히 말하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즐기는 문화이다. 대중문화는 시끌벅적한 길거리 공연(busking)이 벌어지고 있는 거리의 고깃집에 가서 저녁을 먹고 소극장 연극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 단어 그대로 일반 대중(大衆)’이 부담 없이 즐기는 문화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미학적인 차이는 어떤 것일까고급문화의 미학을 한 가지로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고급문화의 미학적인 특징은 정교함, 견고함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이 문화 수용자로서 미학적인 정교함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문화와 관련된 어떠한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내 경험에 의하면 고급문화라고 할 수 있는 클래식 공연을 처음 보았을 때, 공연을 통한 미학적인 만족감을 경험하기 어려웠다. 왜냐하면 어렵다고 느꼈기기 때문이다. 당시에 클래식 공연이 낯설기도 했고, 클래식 공연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기에 공연을 온전히 즐길 수 없었다. 하지만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은 나와 다르다. 이들은 대체로 클래식 공연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클래식 공연의 완성도정교함으로 설명하는 미적 가치를 보다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다.
 
   대중문화는 이와 다르다. 물론 대중문화도 정교함을 갖고 있다. 하지만 더 우선적으로 대중문화의 미학적인 특징은 다양성’, ‘자율성에서 찾을 수 있다앞서 말한 클래식 공연과는 다르게,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길거리 공연은 그 공연을 처음 보는 사람도 문화를 통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다. 특히, 홍대 앞 길거리 공연은 공연의 완성도와 더불어 공연을 하는 예술가와 홍대 거리 자체에서 느껴지는 자유로움이 거리 공연을 즐기는 수용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선사한다.
 
   이렇게 고급문화는 정교함, 견고함’, 대중문화는 자율성, 다양성과 같이 서로 다른 미학적인 차이를 보인다

참고문헌 :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한울 아카데미


 ⓒ All right reserved dailyculturestory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

[매스미디어, mass media] 매스미디어를 변화시키면 대중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 http://www.lesechos.fr/medias/2014/07/03/1001973_la-fin-du-mass-media-le-paradoxe-facebook-82985-1.jpg


매스미디어를 변화시키면 대중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그렇다. (부분적으로)


거에는 매스미디어를 변화시키면 대중문화를 정말 변화시킬 수 있었다. 사람들이 정보를 얻고, 심지어 대다수가 문화를 매스미디어를 통해 소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실제로 언론을 매개로 선동이란 것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한 프로그램의 동시 시청률이 40-50%를 넘나드는  현상도  발생되었다. 물론 2015년을 살고있는 현재에도 이러한 현상은 여전히 히 종종 발견되곤 한다. (과거에 비해선 그 빈도가 줄었지만)


  하지만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점점 더 약해지고, 그에 따라 경영이 어려워지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불특정 다수에게 영향력을 미치던 매스미디어와는 달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등장한 뉴미디어는 특정한 대상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매스미디어는 대중문화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임이 틀림없다. 단어를 풀이해 보았을 때 매스미디어의 매스와 대중문화의 대중은 상호 연관성이 깊기 때문이다.


  매스미디어는 막강한 자본, 체계적인 제작·유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중문화를 형성한다. 이렇게 대중문화를 한번 장악한 매스미디어는 수익을 통해 더욱 더 질 좋은 콘텐츠를 순환시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간다. 이에 따라 대중들은 더욱더 매스미디어에 열광하고, ·간접적으로 많은 돈을 지불한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면 <슈퍼스타K>로 시작 된 우리나라의 오디션 열풍을 들 수 있다. 케이블 방송 M.net에서 시작 된 <슈퍼스타K>는 막대한 자본과 탄탄한 제작스토리 및 유통을 기반으로 수많은 국민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또한 이는 오디션 열풍’, ‘실용음악 입시생 증가’, ‘버스킹 열풍과도 같은 다양한 문화현상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는 한 TV프로그램이 단순 편성을 넘어 사회 구성원 개인의 가치관, 삶의 목적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막강한 힘을 가진 매스미디어는 자본주의에서 필연적으로 대중문화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매스미디어를 변화시키면 대중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한울 아카데미

 ⓒ All right reserved dailyculturestory



우리의 일상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일상, 행복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글을 씁니다. 


댓글, 추천, 공유 감사합니다.